본 교과목은 운동에 대한 인체의 기능적 변화와 조절 기전에 대한 원리와 현상을 탐구하는 분야로 신체가 운동과 훈련을 통해 일으키는 반응과 적응에 대한 지식을 익혀 여러 가지 운동시 초래되는 생리적 변화와 그 변화의 원인을 규명하고 인체의 기능적 측면과 수행력을 이해한다. 운동생리학의 입문, 세포, 에너지 대사, 운동과 근육계, 운동과 신경계, 운동과 순환계. 운동과 호흡계, 인체수행능력의 지표와 평가, 운동과 내분비계, 운동체구성과 체지방, 운동과 환경 등을 습득한다. 운동시 일어나는 인체의 생리적 반응을 통해 인체의 발달 발육에 미치는 운동의 영향과 발달 단계에 따른 운동기술의 습득 과정을 이해하고 운동의 중요성을 깨닫고 일생동안 운동을 습관화하는 태도를 기른다.
운동생리학은 인체가 활동 시에 어떻게 기능을 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며, 생리학자들은 인체조직, 기관, 계통의 구조와 기능을 탐색하며, 다양한 형태의 운동과 그것을 행하는 유기체의 여러 내・외적 환경 요인이나 자극이 생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다루는 연구 분야이다.
따라서, 운동으로 일어나는 인체의 기능적 변화와 그 기전에 대한 연구는 체육학을 구성하는 응용적 성격을 갖는 여러 분야와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특별히 스포츠 생리학과 유기적인 관련을 갖는 분야를 열거하면, 운동 수행력 향상과 질병으로부터의 회복을 위한 트레이닝론, 인체 내 물질 대사를 연구하고 스포츠 활동을 위한 적합한 식이의 질과 양을 결정하기 위한 스포츠 영양학, 운동 수행의 의학적인 측면과 과학적 측면을 모두 포괄하는 스포츠 의학 등이 있다.
운동생리학은 체육학의 기본 학문으로서 운동 수행력의 개선과 건강 증진이라는 궁극적인 목적을 갖는다.
김화룡 교수
장상우 교수
김지영 교수
안재찬 교수
이준희 교수
지무엽 교수
이의수 교수
김종혁 교수
장남제 교수
김수연 교수
이연주 교수
서건우 교수
류시현 교수
김종수 교수
이재형 교수
박승화 교수
김태욱 교수